

UI패치의 경우 스팀의 설치 경로를 인식해서 패치를 하기 때문에
스팀이 설치된 곳 이외의 경로에 팬텀페인이 설치되어 있다면
해당 경로를 인식하지 못해 UI 패치가 안되는 문제가 있습니다.
가장 간단한 해결 방법은 팬텀페인을 스팀의 설치 폴더 이동 기능으로
스팀 기본 라이브러리로 게임을 이동 시킨 후 한글 패치를 진행하는 방법이 있습니다.
하지만 제가 안내해드린 분들 중 일부는 C드라이브에 용량이 부족해서 게임을
이동 시킬 수가 없다는 분들이 생각보다 많았습니다.
그래서 이번에는 경로를 바꾸지 않고 UI 패치를 진행하는 방법을 적어보겠습니다.
참고로 글은 길지만 과정 자체는 5분 내외로 끝낼 수 있을 정도로 짧습니다.
0. 시작에 앞서..
-본 과정으로 생기는 문제나 불이익에 대해선 책임지지 않습니다.
진행 전에 한번 더 생각해보시고 진행 부탁드립니다.
-특히나 이번에는 레지스트리를 건드리기 때문에 자칫 엉뚱한걸 건드렸다가
심각한 시스템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과정에 반드시 주의를 해주세요.
다시 말씀드리지만 전 아무런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.
1.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합니다.
-시작메뉴 → "regedit"를 입력 후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.
-혹은 윈도우 키 + R을 누르고, 실행 창이 뜨면 "regedit"를 입력합니다.

2. 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스팀 경로를 찾아갑니다.
-경로는 HKEY_CURRENT_USER\SOFTWARE\Valve\steam 입니다.
-그리고 SteamPath 부분을 더블 클릭해서 열어줍니다.

3. '값 데이터' 부분에 현재 라이브러리 경로를 지정해줍니다.
-개인적 편의상 현재 팬텀페인을 설치할 경로를 현재 라이브러리로 칭하겠습니다.
-아래 스샷은 예시입니다. 개인의 설정마다 라이브러리 경로는 다를 수 있습니다!!
-라이브러리 폴더의 경로를 모를 시 아래의 "더 보기"를 눌러 확인 바랍니다.


- 제 라이브러리 경로를 모르겠어요!(더 보기 클릭)↓
-위 과정을 정상적으로 마치신 분은 이 과정은 건너 뛰셔도 됩니다.
-스팀을 실행하고 상단 메뉴의 Steam > 설정으로 들어갑니다.
-좌측 메뉴에서 '다운로드'를 선택한 후 맨 위의 STEAM 라이브러리 폴더를 누릅니다.
-저장공간 관리자 창이 뜨고 중간에 스팀 라이브러리 경로가 적혀있습니다.


이제 라이브러리 경로를 알았으니 다시 위로 돌아갑니다.
4. 스팀이 설치된 경로 내의 steamapps 폴더로 이동합니다.
-그리고 libraryfolders.vdf 파일을 복사합니다.

5. 복사한 파일을 현재 라이브러리의 steamapps 폴더에 붙여넣어 줍니다.

6. UI 한글 패치를 진행합니다.
-아래 링크는 UI 및 자막 한글 패치 방법을 안내하고 있지만
가급적 UI패치만 먼저 진행하고 자막패치는 7번 과정 이후에
진행하는걸 권장 드립니다.
7. 2, 3번 과정에서 변경한 레지스트리 값을 원래대로 돌려줍니다.
-라이브러리 경로를 모를 시에는 3번 과정을 참고 합니다.

8. 이제 게임을 즐기시면 됩니다. 고생 많으셨습니다.
길게 썼지만 과정만 요약하면..
1. 레지스트리 편집기 실행 후 스팀 경로로 이동
2. SteamPath의 값을 현재 라이브러리 경로로 변경
3. 스팀 설치 경로의 steamapps\libraryfolders.vdf를 복사
4. 현재 라이브러리의 steamapps 폴더에 libraryfolders.vdf 붙여넣기
5. 한글 UI 패치 후 변경한 레지스트리 값 원래대로 복원
저도 이번에 방법 찾아보면서 느낀거지만
정말 과정은 얼마 안됩니다..